지정번호 | 보물 제853호 |
---|---|
지정연월일 | 1986년 3월 14일 |
시 대 | 조선시대 |
명 칭 | 수선전도목판(首善全圖木板) |
분 류 |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
수 량 | 1점 |
관 리 자 | 고려대학교 |
소 유 자 | 고려대학교 |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1가 1 |
고려대학교박물관 |
수선전도(首善全圖)는 1824년에서 1834년 사이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서울지도로서 근대지도(近代地圖)에 가까운 실측, 세밀 지도이다.
수선(首善)이란 서울을 뜻하며, 그것은 한서(漢書) 유림전(儒林傳)에 「건수선(建首善) 자경향시(自京鄕始)」라고 한 데서 유래된 말이다. 그러니까 수선전도(首善全圖)란 수부(首部) 서울의 전도(全圖)라는 뜻이다.
이 지도는 크기는 82.5 ×67.5㎝의 목판본(木板本)인데, 그 판목(板木)이 지금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박물관에 보존되어있다.
수선전도(首善全圖)는 서울을 북(北)쪽은 도봉(道峰)에서 남(南)쪽은 한강(漢江)에 이르는 지역을 오늘의 종로(鍾路) 거리가 가로지르는 것으로 그렸는데, 종로(鍾路)를 남북(南北)으로하여 지명(地名)을 새겨 놓고 있다. 그래서 서울 거리를 북쪽은 북악(北岳)을 중심으로 보고 남쪽은 목멱산(木覓山) 즉 남산(南山)을 중심으로 해서 본 것처럼 그렸다. 종로를 직선으로 그 북쪽은 지명을 바로 새기고 그 남쪽은 남산을 위로하고 보아야 바로 보이게 지명을 새겨놓고 있다.
이 지도는 1820년대 초의 서울을 정확하게 그린 도성도(都城圖)로서, 도성(都城)의 주요 도로(道路)와 시설(施設), 궁전(宮殿) ·종묘(宗廟) ·사직(社稷) ·문묘(文廟) ·학교(學校) ·교량(橋梁) ·산천(山川) ·성곽(城郭) ·루정(樓亭) ·봉수(熢燧) ·역원(驛院) ·명승(名勝) 등에서 부(部) ·방(坊) ·동(洞)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성(城)밖의 동리(洞里)와 산(山)과 불사(佛寺)까지도 자세하여 460여개의 지명(地名)이 나타나 있다.
수선전도(首善全圖)의 제작자에 대해서는 대체로 김정호(金正浩)라는데 이견(異見)이 없다. 그것은 「명세총고(名世叢考)」라는 책의 서적고(書籍考) 지리조(地理條)에 수선전도(首善全圖)의 작자(作者)로 김백온(金伯溫)이라고 한 것에 근거를 두고, 또「국서음휘(國書音彙)」라는 전적(典籍)에 대동방전도(大東方全圖) 21매(枚)를 조선 철종때 김백온(金伯溫)이 만들었는데 세칭(世稱) 고산자지도(古山子地圖)라고 했는데, 여기 김백온(金伯溫)의 것으로 그 밖에「남북항성도(南北恒星圖)」와 「동서지구도(東西地球圖)」등을 들고 있어서 김백온(金伯溫)과 고산자(古山子)가 같은 인물임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고산자(古山子)는 김정호(金正浩)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다음은 그 제작 연대인데, 김정배(金貞培)에 의하면 1824년에서 1834년 사이로 고증되고 있다. 그는 수선전도고(首善全圖考)(「사총(史叢)」 8집(輯) 1963)에서 이 지도가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것임을 고증하고 제작 연대의 상한을 경우궁(景祐宮)이 나타나 있음을 들어 그것이 창건된 순조 24년(1824)으로 잡고, 하한을 제생동(濟生洞)이 계생동(桂生洞)으로 이름이 바뀐 순조 34년(1834)으로 본 것이다. 이찬(李燦)도 순조 25년(1825)경으로 보고 있어 (「한국고지도(韓國古地圖)」) 대체로 비슷하다.
수선전도(首善全圖)는 그 정확성과 정밀함에서 그리고 그 크기에서 서울 도성(都城)의 지도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 지도제작 뿐 아니라 목판으로서의 제작 솜씨도 훌륭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므로 그 판목(板木)의 존재는 매우 귀중하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목판지도가 제작되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팔도총도(八道總道)와 각도지도(各道地圖)를 비롯하여 천하총도(天下總圖)가 들어있는 지도첩(地圖帖)과 팔도각도(八道各圖)의 큰 판목(板木)들, 여지전도(輿地全圖)와 해좌전도(海左全圖), 대여지전도(大輿地全圖)등은 훌륭한 목판지도들이다. 그 중에서 한 도시(都市)의 지도, 특히 목판지도로서의 수선전도(首善全圖)는 가장 크고, 정확 정밀하다는 데서, 그 판목(版木)은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크다. 판목(板木)의 보존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자료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1&VdkVgwKey=12,08530000,11&queryText=김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