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http://cheonggye.seoul.go.kr
조선시대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의 호를 따서 지은 다리로, 인근에 같은 이름의 도로인 '고산자로'와 연관되어 붙여졌음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22번째 다리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34번지와 성동구 마장동 470번지 사이에 있다. 다리 위로 고산자로가 지난다.
2000년대 중반에 청계천 복원공사로 지은 22개 다리들 중 (상류 기준) 마지막 다리이다. 2. 이름과 역사 〈대동여지도〉를 제작한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김정호의 호인 ‘고산자’를 딴 도로 고산자로가 지나는데에서 유래했다.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에는 없었고 2000년대에 청계천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 지은 다리이다. 현대건설에서 시공했으며 2004년 5월 31일에 청계천 복원공사로 지은 22개 다리 중 두물다리와 함께 가장 먼저 개통되었다. 3. 구조 🔸고가도로 형태로 지어진 내부순환로 밑에 다리가 있다. 고산자교부터 중랑천 합류부 사이의 다리들은 전부 그렇게 놓여있다. 🔸내부순환로 청계램프가 이 다리 인근에 있었다. 청계고가도로가 이 지점에서 내부순환로와 연계됐기 때문이다. 고산자교 이전까지는 왕복 4차로였던 내부순환로가 이 다리를 지나친 이후부터 갑자기 왕복 6차로로 늘어난다. 청계고가에서 내부순환로로 들어오는 램프의 흔적 때문이다. 🔸길이 88m, 폭 43.2m 규모이다. 왕복 6차로로 가운데에 중앙분리대가 있고 다리 양 옆에 인도가 있다. 주 도로와 서쪽 인도 사이에 1차로 차도가 하나 더 있는데 U턴할 수 있게 둔 길이다. 🔸고산자교의 동남쪽과 동북쪽, 서남쪽에 청계천 산책로를 오갈 수 있는 진입로가 있다. 동북쪽에 2개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경사로이며 나머지는 전부 계단이다. 서남쪽이 36번, 동북쪽 계단이 32번, 경사로가 33번, 그리고 동남쪽이 38번이다.
$\scriptsize\textsf{▲ 이상 출처 : 나무위키}$